안녕하세요~ 마네7입니다. 오늘은 북유럽 하우스를 구경할건데요.
우리나라에서도 한 때 북유럽 인테리어가 대유행을 했었죠. 북유럽 감성이 멋있기는 합니다.
그들만의 디자인 철학이 반영된 인테리어를 보고 있으면 한 번 쯤 살고 싶어지는데요.
여러분은 인테리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보통 우리가 새로운 집을 지어서 완전히 새롭게 하기 보다는 살고 있는 집이나 구축을 새롭게 바꿔서 살기 좋은 공간으로 바꾸는 경우가 훨씬 많은데요. 그냥 인테리어 잡지에 나온것이나 인터넷에 나온 사진이나 집을 보고 아 나 이렇게 하고 싶다라고 한다면 자신의 집을 인테리어 할 때 실패하고 맙니다.
좋은 인테리어를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나에게 가장 필요한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공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그 한정된 공간에 무엇이 필요한가? 어떤 공간이 꼭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죠. 어떤 이들은 일과 쉼이 연계된 공간을 필요로 하기도하고, 어떤 이들은 아이들과 함께 지내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자신의 취미를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공간을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이런 고민이 먼저 선행된 후에야 다른 것들은 부수적으로 그 공간의 구성에 맞추어져야 하는 것이죠.
전문 인테리어 사무실에서 8년 정도 근무 하면서 수 많은 병원과 가정집과 매장들을 공사했습니다. 많을 때는 한달에 4개 현장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가장 좋은 것은 한 인테리어 팀이 한달에 1개 혹은 2개 정도가 가장 적당하더군요. 그리고 먼저는 필요한 공간을 인지한 클라이언트와 일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공간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지하고 그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디자이너는 그 필요한 공간들을 빈 공간에 채워나갑니다.
도면을 그리는 것인데, 사실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전체적인 틀과 그 공간에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거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가장 효율적인 동선과 배분을 통해 수십장의 도면을 그립니다. 전체적인 공간을 나누어서 수십장의 도면을 그리다보면 공간을 형체를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도면은 점점 콤팩트해집니다. 그리고 그 중에 선별된 몇장의 도면을 가지고 클라이언트와 다시 상담을 진행합니다. 또 수정과 보완을 합니다. 이 과정만 잘 되어도 70프로는 성공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 안에 필요한 가구의 배치와 디자인과 들어갈 재료와 이런것이 정해지는데 이건 사실 전체 설계에 비하면 작은 부분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 보는 이 집은 디자이너의 고민이 들어있는 집으로 새롭게 디자인 된 공간을 보면서 자신의 집을 만들어가는 눈을 키우면 좋을것 같네요~
오늘은 북유럽 큐브하우스 중에서도 계단을 중심으로 설계된 집을 구경하도록 할게요.
출발~
디자이너이자 기획자인 에일렛 레비 아다니(Aylet Levi Adani)는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있는 세 명의 어린 자녀를 키우는 부부를 위해 현대적인 스타일의 집을 설계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특별한 집의 핵심은 집의 중앙에 위치하고 2층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벽 안에 갇힌 계단이었다. 그것 때문에 집을 실제보다 작게 보였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dani는 계단통 주위에 있는 완벽한 큐브를 디자인했습니다. 큐브의 중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집의 내부 날개가 명확하게 정의되었습니다.
계단설계의 첫 번째 단계는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확장되었는데, 이것은 집 전체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일종의 무대이기도 했다. 벽의 일부를 제거하였고 안전을 위해 벽을 제공하면서도 집의 중앙 조각이 닫혀있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하면서 난간의 역할을 하기 위해 흰색 메쉬 철망을 선택하였다.
계단의 반대편은 주방 공간으로 만들었다. 계단을 중심으로 오른쪽은 거실, 왼쪽은 주방으로 배치해서 두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답답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메쉬 철망을 이용하여 벽과 난간의 역할을 대신 하도록 한 것이다. 계단이 답답한 벽으로 되어있던 것을 철거하여서 개방감을 갖도록 함으로 중앙계단으로 인한 폐쇄적이고 답답한 느낌을 없애고 오히려 공간이 열리면서 분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디자인을 했다.
1층에는 거실 앞 사랑방이 사무실과 놀이방으로 바뀌어 부모들이 갓난아기 자녀들을 예의주시할 수 있었다. 거실 앞 쪽의 방은 유리문으로 만들어서 안 쪽이 모두 보일 수 있도록 만들어서 아이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부모가 확인을 할 수 있고 아이들도 부모님과 친밀감을 느끼는 가운데 자신들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화이트 톤에 블랙으로 가구를 배치하고 창틀과 문틀을 블랙으로 배치해서 블랙&화이트로 깔끔한 북유럽 느낌을 가져갔다. 거기다가 바닥은 나무를 헤링본 무늬로 깔아서 심심하지 않도록 만들었다. 블랙&화이트의 기본에 바닥은 자연의 느낌을 살린 헤링본 무늬를 사용해 조화를 이루었다.
지배적인 파켓 헤링본 무늬 바닥과 대조하기 위해, 단색 팔레트를 내부 전체에 검은색, 흰색, 회색, 낙타 갈색 톤이 혼합되어 구현되었다. 어느 한 색이 튀지 않으면서도 깔끔한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한 것이 포인트다.
2층에는 아기방과 어린이공용실, 메인 스위트룸이 있으며, 넓은 옷장에는 커피머신이 구비되어 있고, 아기에게 야간 시간대를 만들어주는 스탠드가 마련되어 있다. 1층의 계단과 통일성을 주기 위해 2층 난간도 메쉬철망으로 느낌을 주면서 깔끔한 마감이 되도록 하였다. 메쉬와 바닥의 나무결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2층 어린이 방은 아래층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분위기를 만들면서 벽면을 이용한 수납공간을 아이들에게 친숙감을 느낄 수 있는 집 모양과 같은 아기자기한 수납 공간을 만들어 주었고, 침대 또한 나무로 틀을 만들어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었다.
메인침실은 전면에 장을 배치하였고 수납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TV이는 기둥을 설치해서 설치했다. 이렇게 함으로 침실에서 자연스럽게 TV를 시청하면서도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대한의 수남공간을 위하여 벽면 2면에 붙박이 장을 설치하였다. 벽 전체를 사용하였으며 특별한 장식을 배제한 채 일정한 크기의 문을 설치하고 벽면과 연장선상에 있게 하며 같은 색을 칠함으로 장이 아니라 하나의 규칙적인 디자인의 효과를 가져가도록 했다.
2층 메인 화장실은 세면대 아래에 수납장을 설치하였고 목욕시설을 두었다. 벽면의 밋밋함을 줄이기 위하여 블랙톤의 타일을 헤링본 무늬 처리하여 포인트를 주면서 전체적인 블랙&화이트의 톤을 이어갔다.
2층 부부 전용 화장실은 건식과 습식을 다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세면과 손씻을 공간은 건식으로 변기시설은 습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이전의 2층 도면을 보면 부부 침실 외에 가운데 계단 앞에 화장실을 집중 배치하여 양 방향으로 소통이 안되는 상태로 답답하게 공간이 닫혀 있었다면 공사 이후에는 계단을 축소하고 부부 침실로 소규모 화장실을 들이고 반대편 공간에 아기 침실과 아이들 방을 두어서 개방감 있으면서도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었다.
이전의 주방과 거실공간 사이에 계단 부분이 벽으로 모두 막혀 있어 양쪽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답답한 구조로 되어있고 필요 없는 공간이 너무 많았다.
새로운 공간은 계단의 벽을 모두 철거했고 거실과 주방이 소통이 되도록 하였으며 거실 앞 공간은 아이들 공간 및 사무실 공간으로 만들어 거실과 소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주방 외부 공간을 테라스 공간으로 만들어서 자연 친화적인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계단 공간을 더 큐브로 구성하여 주방과 거실까지 하나의 큐브로 이어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낸 아이디어 도면.
어떠셨나요? 어떻게 보면 심심해 보이기도 하지만 깔끔한 북유럽 감성을 더하고 공간을 재 구성하여 완전히 다른 집으로 만든 디자이너의 고심과 아이디어가 돋보였던것 같습니다. 저도 어렸을 때 인테리어 회사에서 8년 가까이 근무했었는데요. 설계부터 현장까지 제 젊은 청춘을 바친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인테리어를 하면서 배운것은 어떤 아름다운 디자인과 꾸밈은 나중의 문제이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공간을 가장 효율적이며 합리적인 동선과 배치로 만드는 것이다라고 배웠는데 오늘 소개한 이 집이 바로 그렇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다음에는 더욱 알찬 소식으로 찾아 봴게요.
더욱 많은 사진과 자세한 내용은 https://design-milk.com/the-nordic-cube-house-was-entirely-designed-around-a-staircase/ 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인테리어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적 환경으로 물들인 상파울로 주택 (0) | 2022.03.3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