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3.31 오늘 코스피 주요 상승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코스피 장을 지배하는 두 이름은 한화갤러리아와 DB가 되겠습니다. 두 회사 모두 상승곡선을 가파르게 지르면서 나가고 있고, 특히 DB 계열사들은 몇 일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죠.
한화갤러리아우
신규상장된 한화갤러리아우가 바로 상한가를 가버렸습니다. 본주인 한화 갤러리아에 비해서 엄청난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주인 한화 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에서 인적분할된 신설법인입니다. 2021년 4월 1일 한화솔루션에 흡수 합병되어 지분 100% 자회사로 편입되어서 분할전 한화솔루션의 리테일 사업군을 담당했습니다.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지역에 백화점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고 명품관, 광교, 센터시티, 진주, 고메이494한남 등 오프라인 판매 및 e-커머스팀 등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가 주요 매출입니다.
2023년 3월 31일 코스피 시장에 재상장했습니다. 본주인 한화갤러리아가 아닌 한화갤러리아우가 상한가를 가버렸는데 일단은 계속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보는 분위기로 가기는 합니다. 원래 우선주 자체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을 포기해야 합니다. 회사 경영에는 참여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 때문에 우선주는 대개 회사의 경영참가에는 관심이 없고, 배당 등 자산소득에 관심이 높은 투자자를 대상으로 발행되는데 투자자 입장에서는 많은 배당을 기대할 수 있고, 회사 입장에서는 경영권 위협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주친화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보고 배당을 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안정적인 본주를 가지고 있는 우선주들이 본주보다 높은 가격에 형성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DB하이텍1우
오늘은 본주보다는 우선주가 상한가를 이루고 있습니다. 강성부 대표가 이끄는 행동주의 펀드 KCGI가 DB하이텍 지분을 매입했다는 소식에 31일 DB하이텍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DB
DB의 사업 부문은 연결대상회사이자 주요종속회사인 디비에프아이에스를 포함하여 크게 IT분야의 SI(System Integration) 및 ITO(IT Outsourcing) 서비스 중심의 IT사업부문이 있습니다. 화학 및 철강제품 등의 무역업을 영위하는 무역사업부문, 'DB' 상표권 관리를 비롯해 그룹의 브랜드와 광고 활동을 총괄하는 브랜드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헤럴드 경제에 의하면 "강성부 대표가 이끄는 행동주의 펀드 KCGI가 DB하이텍 지분을 매입했다는 소식에 31일 DB하이텍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7분 유가증권시장에서 DB하이텍은 전 거래일보다 15.22% 오른 7만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DB하이텍우는 가격 제한폭(29.95%)까지 오른 12만5400원에 거래 중이다. DB하이텍의 모회사 DB는 같은 시각 전 거래일 대비 20%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KCGI는 전날 투자목적회사인 캐로피홀딩스를 통해 DB하이텍의 지분 7.05%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KCGI는 "DB하이텍이 미래 성장성과 우수한 시장지위에 기반한 경쟁력에 비해 기업가치는 극도로 저평가돼 있다"며 회사 측에 자사주 소각과 독립적인 이사회 구성을 요구했다" 고 전하고 있습니다.
DB하이텍
DB그룹의 주요계열사인 DB하이텍은 1953년 4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웨이퍼 수탁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는 파운드리 사업과 디스플레이구동칩(DDI) 및 자사 제품을 설계, 판매하는 브랜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로 부천(FAB1)과 상우(FAB2) 두 곳에 공장을 두고 있으며, 해외 영업을 위해 미국법인과 대만, 일본, 중국 지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강성부 대표가 이끄는 행동주의 펀드 KCGI가 DB하이텍 지분을 매입했다는 소식에 31일 DB하이텍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한화갤러리아
한화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에서 인적분할되어서 오늘 신규상장 되었는데 재상장이라고 보는게 맞겠죠. 한화솔루션의 주가가 오르면서 같이 오르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1일 한화솔루션에 흡수 합병되어 지분 100% 자회사로 편입되었음. 분할전 한화솔루션의 리테일 사업군을 담당했습니다.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지역에 백화점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음. 명품관, 광교, 센터시티, 진주, 고메이494한남 등 오프라인 판매 및 e-커머스팀 등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가 주요 매출임.
2023년 3월 31일 코스피 시장에 재상장함.
POSCO홀딩스
POSCO홀딩스는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산업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철강사업(포스코)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무역/건설/에너지를 포함한 친환경인프라사업(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에너지 등)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 리사이클링 등 EV배터리소재 및 수소사업과 같은 친환경미래소재분야(포스코케미칼, 포스코아르헨티나 등)로 사업확장 중이기에 인기가 있습니다.
제선, 제강 및 압연재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이데일리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주가 동반 강세다. 증권가에서 포스코그룹 상장사들의 실적 전망을 밝게 보면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11시 현재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전 거래일보다 12.08% 오른 38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포스코ICT(022100)는 12.95%, 포스코스틸리온(058430) 8.43%, 포스코케미칼(003670) 3.82%,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2.79% 상승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그룹 지주회사로 포스코케미칼은 2차전지 소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너지, 포스코ICT는 IT서비스, 포스코엠텍은 철강원료와 포장, 포스코스틸리온은 강판생산을 주력으로 한다.
증권가에서 포스코그룹 계열사의 실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그룹사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서는 포스코ICT가 전년도 수해 복구 사업으로 인한 비용 지출과 예정 사업의 수주 순연으로 악화됐던 수익성이 정상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LNG(액화천연가스)사업을 적극 육성하며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부문에서 실적 증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음극재 탈중국’기조로 음극재 분야 계약물량 증가와 판매단가 상승 구간을 견인할 것으로 증권가는 분석했다.
포스코홀딩스는 하반기 리튬 사업의 순차적 가동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 사업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주가에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솔딩스는 리튬을 필두로 한 에너지 전환용 금속이 장기적인 성장을 이끌어 갈 것”이라며 “철강 사업은 성장성이 낮겠지만 향후에도 핵심사업으로서 신사업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 전하고 있습니다.
덴티움
덴티움은 2000년 6월 7일에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적사업은 의료용구 제조 및 판매업, 의료장비 제조 및 판매업입니다.
설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년간의 임상데이터 축적과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시장점유율 2위, 글로벌 시장점유율 6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와 함께 디지털 장비 등을 Total Solution 개념으로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을 이용한 CBCT, CAD/CAM 등의 Digital 제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판매중인 회사로 오스템이 상폐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덴티움이 더욱 사업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과 최근 영업이익 상승등에 맞물려 있고 앞으로 임플란트는 꾸준히 시장성이 있기 때문에 투자에 대한 전망은 좋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징주] 3.27 코스닥 특징주- 포스코엠텍, 자이글, 아우딘퓨쳐스, 삼천당제약, 서남, EG, 중앙디앤엠, 강원에너지, 제이오 (0) | 2023.03.27 |
---|---|
[특징주] 3.27 코스피 특징주-이엔플러스, 유니온, DB, 코스모신소재, 한국단자, 제주은행, 코스모 화학 (1) | 2023.03.27 |
2023.3.27 국내 증시 현황 (1) | 2023.03.27 |
코인 시세, 공포-탐욕지수, 코인동향-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에이다, 도지코인, 파일코인 (0) | 2023.03.24 |
파이코인 상장? 실제 거래는? kyc이슈. (1) | 2023.03.24 |
댓글